6. 결합(결합을 지배하는 자가 SQL을 지배한다) ch 18. 기능적인 관점으로 구분하는 결합의 종류 크로스 결합 내부 결합 외부 결합 자기 결합 등가 결합/비등가 결합 자연 결합 위에서 3개는 배타적 결합이다. 컬럼) 자연 결합 구문 자연결합 = 내부 결합 + 등가 결합 1) 크로스 결합 - 모든 결합의 모체 데카르트 곱 (1)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음 그런 결과가 필요없다 비용이 크다 (2) 실수로 사용한 크로스 결합 SELECT * FROM Employees, Departments; 2) 내부 결합 - 왜 ‘내부’라는 말을 사용할까? (1) 내부 결합의 작용 크로스 결합 결과의 부분집합 (2) 내부 결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상관 서브쿼리 스칼라 서브쿼리 = 리턴값이 하나인쿼리(SELECT의 필요 조건) 상관 서브쿼리보다 결합이 우수하다 3) 외부 결합 - 왜 ‘외부’라는 말을 사용할까? (1) 외부 결합의 작동 왼쪽/오른쪽/완전 외부 결합 키를 모두 가진 레이아웃의 리포트를 만들때 사용 4) 외부 결합과 내부 결합의 차이 외부 결합은 NULL을 생성한다 5) 자기 결합 - ‘자기’란 누구일까? ch 19. 결합 알고리즘과 성능 Nested Loops Hash Sort Merge 1) Nested Loops 이중 반복 바깥 반복 테이블(구동 테이블, 외부 테이블) <-> 내부 테이블 접근하는 레코드 수 R(A) * R(B)이며 실행 시간은 레코드수에 비례한다. 구동 테이블을 작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(1) 구동 테이블의 중요성 (내부 테이블의 결합키 필드에 인덱스가 존재) 구동 테이블을 작게 내부 테이블의 반복을 줄일 수 있음 이상적으로 구동 테이블의 레코드 한개에 내부 테이블의 레코드 한개가 대응하고, 해당 레코드를 내부 테이블의 인덱스로 사용해 찾을 수 있는 경우 레코드 레코드 수는 R(A) * 2...